저번거 운동한다고 못들음 패스 ㅎ
토의과제 1,2 후
리더에는 거래적리더와 변혁적 리더가 있음
거래적 리더는 능률, 과학적 관리법, 적당한 보상(하위자의 이익 자극-뽀나스),, - 폐쇄적
변혁적 리더는 카리스마, 격려, 지적 자극, 개인적 고려, 적당한 보상(비전과 가치의 공유),, - 개방적
"오늘 마치고 힘들었는데 ㅇㄷㅇㄷ 고?"
&서번트 리더
-서번트 랑 리더 두개 상반된
이제 기본적으로 "방향제시"는 하면서 "섬김"을 동시에 하는 넘들
기업의 사회적 책임
경제적책임 기본베이스
법은 그담 당연히 지켜야하고
윤리적으로도 옳은 일 해야함
마지막으로 자선적 책임
자기 자신을 지키는 책임은 1차적
=> 기업의 1차적 책임도 생존( 이윤추구 )를 해야 살아남지잉
시장경제에서 최대 수혜자는 기업
시장경제에서 폐해는
저 피라미드 밑에 두칸은 아주 기본적으로 해야지.
CSR -> 한다네용
CSR이 뭘까 : 나중에 정리해야지(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래)
기업의 2차적 책임에 csr 이제 돈벌었으면 힘든사람도 도와야지
<csr회의론> 주류경제학, 자유주의, -> 주요가치 : 자유, 경쟁, 이기심
사실 새로 이익투자해서 고용창출하면되고 우리 이윤극대화가 목푠데
우리 뭐 봉사활동하러왔냐
우리 왜 사회적이슈를 우리가 해결하냐
이런넘덜
<csr옹호론> 윤리학, 사회경제학, 공동체주의 -> 주요가치 : 공존, 협력, 도덕
관계극대화 하자 우리는 주주한테만 기업의 책임이 있는것이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있다.
(ex)
주류경제학에서는 갑과 을이라는 사람이 있을때
만원을 준다고하고 둘의 동의가 있어야 나눠준다고 한다면,
돈을 얼마를 주더라도 불로소득 만원을 받는다면
백원이라도 주면 이득이기 때문에 받아야한다.
근데 행동경제학에서는 말이 좀 다르다
평균적으로 4500원을 상대방에게 준다.
2천원 미만으로 제시하면 거절한다.
우리는 "공존"과 "협력"에 가치를 둔다.
그렇기 때문에 이것저것 따져야한다.
csr옹호해야헌다!
다양한 이해관계자.
공유지의 비극 이야기나오면서
공유하는거 다 지거아니니까 막쓰니가 패망한다.
미세먼지 구역나누기 - 소유권 주장 안된다.
정부가 나서서 규제 - 하지만 이것두 폐단이 있음. 기준정해야함 규제 기준 정하는게 어렵데이,,, 내지는 사회적 비용이 준나 많이 들어갈수도있다.
그럼 공존하고 협력해야한다.
그래야 서로가 이익을 볼 수 있다.
주류경제학자 이걸로 비판받음
소유로 자유경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고.
SOLUTION!!!!!!!!!!!!!!!!!!
공유가치 창출 (Creating Shared Value) - CSV
경제적 가치뿐만아니라 사회적 가치까지 챙겨서 두마리 토끼를 잡아야한다.
경제적가치와 사회적가치를 함께 창출해서 개이득 본 경우
결론
CSR은 이윤극대화와 상관없는거
CSV는 이윤극대화를 위한 필수요소
근데 이렇게보면 CSV가 무조건 맞는거 아니가
?
1은 자가부담시킬서도잇고
이거 사례 2 해고 해도 법원에서 정당하다고한데
회사를 대표하는 제복입고 그래한다궁
그리고 내부고발부분말인데
개선되고는 있지만
아직 사회제도 부분에서 확실허지 않아서
좀 현실적으로 아직 힘들다.
굴애서 윤리교육 강화 해야한다.
환경부문, 사회적 부문,. 경제적 부문 세 가지 모두 고려해서
지속 가능한 경영을 해야한다.
트리플 바텀(Triple Bottom line)이라구한데.
'LA(Liberal Arts) > 경영학 개념 및 기업에 대한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성원과 동기부여 (0) | 2020.05.06 |
---|---|
(4주차) - 기업과 경영전략 (0) | 2020.04.11 |
(3주차) - 경영의 개념 및 기업에 대한 이해 (0) | 2020.04.04 |
(1~2주차) - 4차 산업혁명과 기업경영 (0) | 2020.04.02 |